정조시대 수원[화성(華城)] 원행(園幸)에서 보여 주던 행행(幸行) 행렬의 반차(班次)는 조선왕실 군례가 전형적으로 거행되던 퍼레이드였다. 정조가 창덕궁을 출발하여 도성-한강-수원에 이르는 여정에서 보여 주던 반차 구성은 군사 행렬로서 왕실 군례의 연출이었다. 정조를 중심으로 한 행렬은 왕실 호위군에서부터 악대, 의장병에 이르기까지 국왕의 위의(威儀)를 빛내며 왕실의 영속성(永續性)을 대내외에 표명하였다.
조선왕실의 군사의례는 일반적인 군사 활동과는 구분되는 왕실 문화의 하나라고 평가할 수 있다. 군주이건 대통령이건 통치권자의 퍼레이드는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한 흥미 요소가 담겨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조선왕실의 군례가 다른 국가의례와 차별적인 것이 그런 재미 때문이기도 하다.
군례는 군사라는 무력의 고유한 성격 때문에 왕실은 물론 국가적 차원에서 의례화되고 정형화되었다.
군례는 군사의 동원과도 관계가 있지만, 군주가 통치권을 안정적으로 소유하고 있다는 무력 장악 정도를 의례적으로 정리해 보여 주는 것이다. 군례 이외의 다른 의례도 통치와 연관되어 있지만 정권의 안녕을 해치고 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것은 군사력만한 것이 없다. 또한 왕조가 안정기에 접어들게 되면 권력을 위협할 수 있는 군사력의 절제와 남용을 제한하는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왕조의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움직이고 자제하도록 하는 것은 의례만한 것이 없다.
왕실 군례는 자칫 왕가의 사적인 범위에서 거행된 의례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왕조 국가의 의례적 기능이 왕실과 혼융(混融)되어 시행되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별 의미가 없는 해석이다. 조선 왕실의 군례가 국가적 범위의 의례로서 공적인 성격으로 후대까지 거행되었다는 것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왕실 군례가 왕권의 강화 내지는 군사적인 기능보다는 왕조의 영속을 지탱하는 ‘의례’로서 작용하였던 것이다.
차 례
머리말·5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13
2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19
제2장 『국조오례의』 군례의 성립과 특징
1 군사의례의 기원과 의례화(儀禮化)·26
2 『고려사』와 『국조오례의』 군례의 비교·49
1) 견장출정의(遣將出征儀)·53
2) 사환의(師還儀)·55
3) 구일월식의(救日月食儀)·58
4) 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60
3 『세종실록』 오례의와 군례의 정착·65
1) 사우사단의(射于射壇儀)·74
2) 관사우사단의(觀射于射壇儀)·79
3) 대열의(大閱儀)·83
4) 강무의(講武儀)·87
5) 취각령(吹角令)·88
6) 구일식의(救日食儀)·90
7) 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91
8) 향사의(鄕射儀) ·92
제3장 조선 전기 군사의례의 기능과 내용
1 사단의(射壇儀)의 내용과 기능·99
1) 왕실의 활쏘기 전통과 의례화·99
2) 사단의의 정착과 시행·106
3) 지방 활쏘기의 정착과 향사의(鄕射儀)·119
2 대열의(大閱儀)의 내용과 기능·127
3 강무의(講武儀)의 내용과 기능·156
1) 태조대 왕실 사냥 문화와 강무·157
2) 태종대 강무의 도입과 사냥 문화의 변화·161
3) 세종대 강무의 정착과 의례화·179
4) 세조대 이후 강무의 변화와 축소·187
4 구일식의(救日食儀)의 내용과 기능·208
5 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의 내용과 기능·229
제4장 조선 후기 군사의례의 변화와 연속
1 대사례(大射禮)의 내용과 기능·245
1) 국왕의 문묘(文廟) 행행·245
2) 영조대 대사례 시행의 배경·252
3) 대사례의 시행과 내용·257
2 선로포의(宣露布儀)의 내용과 기능·263
3 친림구일식의(親臨救日食儀)의 내용과 기능·275
제5장 결론·285
참고문헌·290
찾아보기·294
지은이
이왕무
주전공: 조선 왕조 왕실사 연구.
경기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동경대학교 총합문화연구과 객원연구원.